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중2인데 혼자 잠을 못자요... 저는 8살때는 혼자잘 잤는데요8살?9살 인가? 그때 엄마가 잠깐 저 두고
저는 8살때는 혼자잘 잤는데요8살?9살 인가? 그때 엄마가 잠깐 저 두고 주차장을 가셨는데 그게 저는 무서웠나봐요그래서 트라우마가 생겼나 싶어요..ㅜ중2인데 아직도 엄마랑 떨어져서 못잡니다ㅜㅜ근데 또 이상한게 낮에는 엄마 없이 잘 자요..;;수학여행때 밤이 되서 자려고 할때면 막 심장이 뛰고,불안해져요..막 엄마도 보고싶고 그래서 많이 힘들었어요..저 괜찮은걸까요?
너무 솔직하고 용기 있게 이야기해줘서 고마워요. 지금 겪고 있는 마음과 상황은 절대 이상하거나 부끄러운 일이 아니에요.
말해준 내용을 보면, 아마도 **어릴 때 느꼈던 불안한 경험(엄마가 잠깐 사라졌던 일)**이 마음속에 깊이 남아서 밤이나 혼자 있는 상황이 되면 무의식적으로 불안함이 올라오는 것 같아요. 이건 트라우마 반응처럼 작동할 수도 있어요. 그리고 중요한 건, 낮에는 괜찮은데 밤에만 불안해진다는 점인데, 이는 빛과 사람의 유무, 주변의 분위기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밤은 조용하고 어두워서 더 외롭고 무서울 수 있거든요.
---
이런 반응은 흔한 일이에요
중학생이 되어도 엄마와 떨어지는 것이 어렵거나, 낯선 곳에서 자는 게 힘든 아이들은 꽤 있어요. 특히 민감하고 감수성이 깊은 사람일수록 이런 반응이 더 자주 나타나요.
예를 들어:
어린 시절 불안했던 기억이 반복되면 그게 몸에 새겨져요.
밤에는 뇌가 과거의 기억이나 감정을 쉽게 떠올릴 수 있어요.
그래서 수학여행처럼 낯선 공간에서 혼자 자려 하면 심장이 뛰고, 불안해지고, 엄마가 생각나는 거예요.
---
나는 괜찮을까요?
네, 당신은 괜찮아요. 다만 지금 마음이 조금 지친 상태고, 도움이 필요한 상태일 뿐이에요. 혼자 견디기보다는 아래 방법들을 하나씩 시도해보면 좋아요.
---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
1. “그때는 괜찮지 않았지만, 지금은 괜찮아.”
자기 전에 이렇게 말해보세요. 뇌에게 ‘지금은 안전하다’고 다시 알려주는 거예요.
2. 불안한 상황을 미리 그려보고 연습하기
예를 들어 “수학여행을 가서 혼자 잘 자는 나”를 상상하면서, 그때의 감정도 함께 떠올려보세요. 이것을 반복하면 실제 상황에서도 덜 놀라요.
3. 엄마의 목소리나 사진 준비하기
목소리를 녹음해서 들으면 심리적으로 안정이 될 수 있어요.
4. 상담 선생님이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가에게 이야기하기
만약 이 불안이 계속되고 너무 힘들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상담은 약 먹는 게 아니고, 마음의 운동을 도와주는 거예요.
---
마지막으로
당신은 아주 민감하고, 기억과 감정에 깊이 반응하는 사람이에요. 그런 사람일수록 더 조심히 다뤄야 하고, 스스로를 잘 돌보는 연습이 필요해요.
혼자 자는 걸 두려워한다고 해서 약한 사람도 아니고, 이상한 것도 아니에요.
당신은 충분히 괜찮고, 지금 이 고민을 말할 수 있는 용기만으로도 이미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