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러브 밤빙과 잠수를 당했어요 장거리 연애 중이라 단거리만큼 행복하진 않을 건 알았고 걔도 저한테

장거리 연애 중이라 단거리만큼 행복하진 않을 건 알았고 걔도 저한테 진작에 관심 식은 거 같아서 보낼 준비를 하고 있었고 4일 전인가 5일 전에 걔한테 너가 요즘에 날 좋아하지 않는 거 같고 너가 다른 여자한테 흥미가 있어보이는 거 같아서 우리 이제 그만 끝내야 할 거 같다고 했는데 걔가 그 여자앤 나 안 좋아할 거고 넌 나 믿어야 된다 넌 나 항상 믿어야 된다 하길래 믿어줬는데 그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고 2시간 지나니까 걔가 아무 말도 없이 차단했더라고요.. 너무 황당스러워서 부계로 봤는데 다른 여자애랑 맞팔 했더라고요.. 맞팔로는 뭐 별 문제가 안 될 순 있겠지만 갑자기 차단하고 바로 맞팔한 게 그냥 친구는 아닌 거 같아서 너무 절망스러웠어요 처음엔 넌 정말 완벽하고 모든 몇 초마다 너가 보고싶고 사랑스럽다고 해줬던 애고 안 떠나겠다고 해줬던 애가 이렇게 변하니까 제가 괜히 뭘 잘못한 거 같고 아무런 말도 안 해주고 떠나버리니까 그렇게 내가 가치가 없나 싶더라고요 절 차단하기 3일 전만 해도 너가 많이 보고싶을 거야 잘 자 이랬었는데.. 아직도 머리 속이 혼란스러워요 그리고 그 여자애가 저보다 더 나아보여요.. 친구들한테 말 하니까 걘 다른 여자한테도 그럴거고 바람이나 그런 건 절대 외모에 관한 적이 없다고 심지어 메간 폭스도 바람 맞았다고 넌 너의 외모뿐만 아닌 너의 영혼을 사랑해줄 남자를 만날 자격이 있다고 걘 정말 쓰레기라고 하던데 저도 아는데.. 왜 이렇게 자존감이랑 자신감이 떨어지는지 모르겠어요..
지금 느끼는 감정은 정상이에요
갑작스러운 차단·맞팔(또는 다른 여자와의 교류)은 배신감·혼란·수치심·자존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내가 뭔가 잘못했나” 하고 자신을 탓하는 건 자연스러운 반응이지만, 그 사람이 보인 행동은 그 사람의 문제이지 질문자님의 가치와는 무관합니다.
오해나 감정의 급변: 상대가 본인 감정을 숨기거나 혼란스러워서 연락을 끊은 경우
회피(귀찮음·정리): 책임지기 싫어서 차단 후 새 관계로 넘어간 경우
솔직한 의사표현의 부재: 상대가 말로 끝내지 않고 차단으로 관계를 끊음
어떤 이유든 설명 없이 떠난 행동은 성숙하지 못한 대응이며, 그로 인해 상처받는 건 당연합니다.
즉각적인 반응 자제
차단을 해제하려고 괴로워하며 연락을 계속 보내거나 뒤를 캐는 행동(부계로 스토킹 등)은 더 큰 상처와 분노를 불러옵니다.
증거·정황 정리
만약 이후에 어떤 대화나 해명을 요구할 경우를 대비해 중요한 메시지나 증거는 안전한 곳에 보관해 두세요.
감정 표현하기
친구나 가족에게 지금 상태를 솔직히 말하고 지지받으세요. 감정 억누르기보다 털어놓는 게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소셜미디어 거리두기
그 사람 소식(새 맞팔 상대 등)을 계속 확인하는 건 고통을 연장시킵니다. 일정 기간(예: 최소 2주) 팔로우/스토리 차단 또는 최소한 알림 끄기를 권합니다.
이미 차단·무응답 상태라면 지금 당장은 연락하지 마세요.
감정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내는 메시지는 감정 배출(호소)으로 끝나거나 상대에게 이용당할 위험이 큽니다.
만약 정말 최종적으로 설명을 듣고 싶다면(닫힌 회로의 해소가 필요하다면) 몇 주 뒤에 짧고 침착한 메시지(감정적 비난 없이 “왜 그런 식으로 끝냈는지 설명을 듣고 싶다. 가능하면 답변 부탁한다”)를 보내는 것을 고려하되, 답변을 받지 못하는 경우 즉시 그 기대를 내려놓으세요.
일상 루틴 지키기: 수면·식사·운동을 규칙적으로 유지하세요. 신체 리듬이 감정 회복에 큰 영향을 줍니다.
작은 목표 만들기: 하루 한 가지 성취(책 1장 읽기, 산책 30분 등)를 달성하며 자기 효능감을 쌓아가세요.
자기 대화 교정: “내가 가치 없나” → “그 사람의 선택일 뿐, 나의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 같은 문장을 반복하세요.
사회적 지지 활용: 친구·가족과 만나 얘기하고, 필요하면 전문가 상담(심리상담)도 고려하세요. 감정이 오래 지속되면 우울·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친구들이 “그 사람은 쓰레기”라고 말해준 건 위로를 위한 표현입니다. 그 말이 상처를 덜어줄 수 있지만, 반대로 분노를 키울 수 있으니 감정 정리 도구로만 활용하세요.
주변 의견은 도움이 되지만 결국 회복은 본인이 주도해야 합니다.
재회 가능성은 상대의 태도에 달려 있습니다. 그러나 설명도 없이 차단한 사람을 믿고 관계를 이어가기는 어렵습니다.
재회가 된다 해도 신뢰 문제는 남습니다. 재회 조건으로는 분명한 사과, 설명, 행동의 변화(일관된 소통)가 필요합니다.
질문자님이 재회보다 스스로의 안정과 자존감 회복을 우선한다면, 관계를 완전히 정리하는 것이 더 건강할 수 있습니다.
질문하기